신돈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라마 《신돈》은 박종화 작가의 소설 《다정불심》을 원작으로, 고려 말 신돈의 개혁 정치를 다룬 작품이다. 손창민이 신돈 역을, 정보석이 공민왕 역을 맡았으며, 서지혜는 노국대장공주와 반야 역을, 오만석은 원현 역을 연기했다. 2005년 9월부터 2006년 5월까지 MBC에서 방영되었으며, KBS의 제작 무산 후 MBC에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나라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기황후 (드라마)
《기황후》는 고려 여인이 원나라 황후가 되는 과정을 그린 2013년 드라마로, 권력 투쟁, 사랑, 복수를 다루며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였다. - 원나라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호조 도키무네 (드라마)
호조 도키무네는 가마쿠라 시대 호조 도키무네를 주인공으로 가마쿠라 막부 내부 항쟁과 원의 일본 원정을 그린 NHK 대하드라마로, 다카하시 가쓰히코의 소설을 원작으로 이노우에 유미코가 각본을 맡았으며, 가마쿠라 시대를 배경으로 한 최초의 대하드라마이자 역사 왜곡 논란에도 새로운 시도로 평가받는다. - 고려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용의 눈물
용의 눈물은 조선 초기를 배경으로 태종 이방원의 삶과 왕권 강화를 위한 투쟁을 그린 KBS1 대하드라마로, 배우들의 열연과 짜임새 있는 스토리로 높은 시청률과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역사 왜곡 논란과 폭력적인 묘사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고려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제국의 아침
《제국의 아침》은 2002년 KBS에서 방영된 고려 시대를 배경으로 한 대하드라마로, 외왕내제 체제 하의 역사적 사실과 주요 등장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루며 김상중 등이 출연했다. - 정하연 시나리오 작품 - 산하 (1987년 드라마)
일제 강점기부터 산업화 시대까지 파란만장한 삶을 산 주인공과 그 가족사를 통해 한국 근현대사의 질곡을 그린 드라마 《산하》는 김영애, 최재성, 김혜수 등이 출연하고 이승만, 박정희 등 역사적 인물도 등장한다. - 정하연 시나리오 작품 - 왕과 비
KBS 1TV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 왕과 비는 조선 초 왕과 왕비들의 권력 다툼과 고뇌를 그린 작품으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역사 왜곡 논란도 있었다.
신돈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어 이름 | hangul: 신돈 hanja: 辛旽 |
로마자 표기 | Sindon |
드라마 정보 | |
장르 | 사극 정치 드라마 |
기반 작품 | 박종화의 《다정불심》 |
각본가 | 정하연 |
연출 | 김진민 |
제작사 | 삼화네트웍스 |
방송사 | MBC |
방송 기간 | 2005년 9월 24일 ~ 2006년 5월 7일 |
방송 횟수 | 61부작 |
언어 | 한국어 |
출연 | |
주연 | 손창민 정보석 서지혜 오만석 강문영 |
조연 | 윤철형 정명환 김명국 이대연 엄유신 김혜리 정성모 송재호 오현경 |
제작진 | |
기획 | 정운현 |
프로듀서 | 안제현 신상윤 |
촬영 | 송인혁 |
편집 | 황금봉 |
음악 | 황상준 노형우 류형욱 김창범 |
관련 정보 | |
관련 링크 | 신돈 홈페이지 |
2. 주요 등장인물
배우 | 역할 | 작품 속 설정 등 |
---|---|---|
손창민 | 신돈 | 본 작품의 주인공. |
정보석 | 공민왕 | 고려 제31대 국왕. |
서지혜 | 노국대장공주 | 원 위왕의 딸로 공민왕의 정비. |
서지혜 | 반야 | 공민왕의 후궁이자 신돈의 시녀. |
오만석 | 원현 | |
강문영 | 초선 | |
엄유신 | 명덕태후 | 충숙왕의 비이자 충혜왕, 공민왕의 생모. |
김여진 | 덕녕공주 | 충혜왕의 비이자 충목왕의 생모. |
지성원 | 희비 윤씨 | 충혜왕의 제2비이자 충정왕의 생모. |
민병현 | 충목왕 | 고려 제29대 국왕. |
최영주 | 충정왕 | 고려 제30대 국왕. |
문정희 | 혜비 이씨 | 공민왕의 후궁. |
이지은 | 익비 한씨 | |
서지승 | 정비 안씨 | |
최수한 | 우왕 | (아역 이디엘) |
미상 | 창왕 | |
허기호 | 덕흥군 | 충선왕의 제3왕자. |
정성모 | 이인복 | 이인임의 형. |
김명수 | 경천흥 | |
김상순 | 염제신 | |
송재호 | 이색 | |
전인택 | 이색 | 이제현의 제자. |
배도환 | 이인임 | 이인복의 동생. |
임병기 | 이춘부 | |
이종만 | 유탁 | |
장기용 | 윤시우 | |
박종관 | 홍언박 | |
강상구 | 기현 | |
이범우 | 이인 | |
김선동 | 김속명 | |
염재욱 | 김구용 | |
이건 | 임박 | |
하성광 | 정몽주 | |
김명국 | 정세운 | |
정명환 | 조일신 | |
윤철형 | 김용 | |
김병춘 | 김원명 | |
최상훈 | 최영 | |
이진우 | 이성계 | |
김영인 | 유인우 | |
순동운 | 김림 | |
강민서 | 김첨수 | |
강민석 | 강원보 | |
정욱 | 김원봉 | |
이새벽 | 안우 | |
김춘기 | 이방실 | |
나재균 | 김득배 | |
이종구 | 인당 | |
전병옥 | 이자춘 | |
송승용 | 이지란 | |
이정섭 | 안도치 | |
이두섭 | 최만생 | |
유정우 | 이강달 | |
허윤정 | 김상궁 | |
조명희 | 박상궁 | |
미상 | 홍륜 | |
임혁 | 보우 | |
유종근 | 덕운 | |
전태성 | 지효 | |
김혜리 | 기황후 | |
김정하 | 영안왕대부인 이씨 | |
이대연 | 기철 | |
최재호 | 기원 | |
조덕현 | 기륜 | |
국정환 | 기철의 집사 | |
김주영 | 권겸 | |
김영석 | 노책 | |
윤순홍 | 조소생 | |
김기준 | 조도치 | |
구보석 | 최유 | |
이석구 | 원 순제 | |
오건우 | 쿤란태자 | |
서성광 | 아유시리다라 | (아역 김종호, 이풍운) |
안치용 | 원 위왕 | |
남영진 | 박불화 | |
서광재 | 완자불화 | |
손화령 | 홍화 | |
왕태언 | 패라첩목아 | |
김건호 | 상원 | |
이봉규 | 석옥 | |
유재익 | 대관사 라마승 | |
채용 | 티벳사원 라마승 | |
안정훈 | 티벳 불자 | |
금동현 | 관선생 | |
이상인 | 관선생의 부관 | |
김규열 | 채빈 | |
김종호 | 어의 | |
이진화 | 우대언 | |
이창환 | 신원경 | |
양은용 | 옥천사의 여종 | |
전수지 | 반야의 생모 | |
한영수 | 초선의 집사 | |
최은숙 | 이제현의 부인 |
등장인물은, 개별적으로 주석이 없는 경우에는 공식 사이트를 따른다.[32]
2. 1. 핵심 인물
배우 | 역할 | 작품 속 설정 등 |
손창민 | 신돈 | 본 작품의 주인공. 어머니가 노비 출신이어서 승려 신분임에도 삭발을 허락받지 못했다. 공민왕과의 만남을 계기로 고려를 구하고자 노력하기 시작한다.[10][11][12] (아역 김경환) |
정보석 | 공민왕 | 고려 제31대 국왕. 원나라에서 무의미한 나날을 보냈지만, 노국대장공주와의 결혼과 신돈과의 만남을 계기로 왕위에 대한 야심을 품게 된다. 즉위 후 원나라의 영향력을 배제하고 국가를 재건하려 하지만, 노국대장공주의 죽음으로 인해 슬픔에 잠겨 은둔하게 된다.[13][14] |
서지혜 | 노국대장공주 | 원 위왕의 딸로 공민왕의 정비. 쿤란 태자와 약혼했었지만 강릉대군 시절의 공민왕과 결혼하게 된다. 왕비가 된 후에는 고려인이 되려고 노력하며 남편을 지지했지만, 임신이 어려운 체질임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임신하여 출산 중 사망했다.[14][15][16] |
서지혜 | 반야 | 공민왕의 후궁이자 신돈의 시녀.[14][15][16] (아역 방준서, 전하은)[17] |
오만석 | 원현 | [18][19][20] |
강문영 | 초선 | [21][22][23] |
황금희 | 윤희비 |
2. 2. 고려 왕실 인물
- 손창민 : 신돈 역 (아역 김경환)
- 정보석 : 공민왕 역[13][14]
- 서지혜 : 노국공주, 반야 역 (아역 방준서, 전하은)[14][15][16]
- 오만석 : 원현 역[18][19][20]
- 강문영 : 초선 역[21][22][23]
- 엄유신 : 명덕태후 역
- 김여진 : 덕녕공주 역
- 지성원 : 희비 윤씨 역[33]
- 민병현 : 충목왕 역[34]
- 최영주 : 충정왕 역[34]
- 문정희 : 혜비 이씨 역
- 이지은 : 익비 한씨 역
- 서지승 : 정비 안씨 역
- 최수한 : 우왕 역 (아역 이디엘)
- 미상 : 창왕 역
- 허기호 : 덕흥군 역
배우 | 역할 | 작품 속 설정 |
---|---|---|
서지혜 | 반야 | 신돈의 노비. 공민왕의 후궁이 되어 모니노(훗날 우왕)의 어머니가 된다. |
엄유신 | 명덕태후 | 충숙왕의 비이자 충혜왕, 공민왕의 생모. |
김여진 | 덕녕공주 | 충혜왕의 비이자 충목왕의 생모. 노국대장공주에게는 의붓 언니에 해당한다. |
지성원 | 희비 윤씨 | 충혜왕의 제2비이자 충정왕의 생모. |
민병현 | 충목왕 | 고려 제29대 국왕. 선천적으로 병약하여 어린 나이에 붕어했다. |
최영주 | 충정왕 | 고려 제30대 국왕. 양위 후 강화도에서 살다가 독살되었다. |
문정희 | 혜비 이씨 | 공민왕의 후궁. |
허기호 | 덕흥군 | 충선왕의 제3왕자. 원나라 내에 거주. 기황후 등에 의해 추대되지만 공민왕 폐위 계획은 좌절되고 지방으로 추방되었다. |
2. 3. 고려 문신
배우 | 역할 | 작품 속 설정 등 |
정성모 | 이인복 | 이인임의 형. 공민왕의 신돈 중용을 엄격하게 비판한다. |
김명수 | 경천흥 | 신돈의 중용에 반대하여 배척 운동을 벌였으나 실패. 신돈 사후 다시 조정으로 돌아온다. |
김상순 | 염제신 | 고려의 문신. 과거 가정 형편으로 인해 원나라에서 황제를 섬긴 경력이 있다. 친원 세력을 조정에서 일소하는 데 기여했지만, 신돈과의 사이가 좋지 않아 조정을 떠나 지방으로 갔다. |
송재호 | 이색 | 공민왕 치하에서 문하시중 등 요직을 역임했다. 공민왕과 신돈의 급진적인 개혁안을 걱정하며, 조정자로서 활동한다. |
전인택 | 이색 | 이제현의 제자. 공민왕의 개혁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
배도환[35] | 이인임 | 이인복의 동생. 홍건적의 난에서 공을 세워 조정의 실력자가 되어 간다. |
임병기 | 이춘부 | 홍건적의 난에서 공을 세운 인물 중 한 명. 신돈에게 접근하여 시중의 지위에까지 오르지만, 후에 탄핵되어 처형되었다. |
이종만[36] | 유탁 | 흥왕사의 난을 진압하여 공신이 된다. 노국대장공주의 장례 내용을 경감할 것을 주장했기 때문에 공민왕과 신돈의 미움을 받아 처형되었다. |
장기용 | 윤시우 역 | |
박종관 | 홍언박 역 | |
강상구 | 기현 역 | |
이범우 | 이인 역 | |
김선동 | 김속명 역 | |
염재욱 | 김구용 역 | |
이건 | 임박 역 | |
하성광 | 정몽주 역 |
2. 4. 고려 무신
배우 | 역할 | 작품 속 설정 등 |
김명국 | 정세운 | 공민왕이 강릉대군이었을 때부터 섬기던 무관. 홍건적의 난 때 계략에 빠져 살해되었다.[32] |
정명환 | 조일신 | 친원파와 대립하여 반란을 일으켰지만, 그 책임을 동료에게 떠넘기고 자신은 관직을 얻었다. 후에 주살되었다.[32] |
윤철형 | 김용 | 공민왕의 측근이었지만 홍건적의 난 때 적전 도주하여 파면된다. 공민왕 폐위 계획에 가담했지만 흥왕사의 난 때 붙잡혀 처형되었다.[32] |
김병춘 | 김원명 | 조정의 무신. 신돈을 조정에서 배척하려다 발각되어 처형되었다.[32] |
김영인 | 유인우 | [32] |
순동운 | 김림 | [32] |
강민서 | 김첨수 | [32] |
강민석 | 강원보 | [32] |
정욱 | 김원봉 | [32] |
이새벽 | 안우 | [32] |
김춘기 | 이방실 | [32] |
나재균 | 김득배 | [32] |
이종구 | 인당 | [32] |
최상훈 | 최영 | [32] |
이진우 | 이성계 | 이자춘의 아들. 쌍성총관부 공격에서 아버지와 함께 공을 세운다. |
2. 5. 조선 건국 세력
2. 6. 환관, 상궁
2. 7. 승려
- 임혁 : 보우 역 - 원나라에서 수행한 고승이다.
- 유종근 : 덕운 역
- 전태성 : 지효 역
- 김건호 : 상원 역
- 이봉규 : 석옥 역
- 유재익 : 대관사 라마승 역
- 채용 : 티벳사원 라마승 역
- 안정훈 : 티벳 불자 역
- 오만석 : 원형[18][19][20] - 변조의 형제 제자로서 함께 수행의 길을 걷는다. 변조가 조정에 들어가 신돈으로 불리게 된 후에는 측근으로서 행동을 함께 한다.
- 손창민 : 신돈[10][11][12]
- * 김경환 : 어린 신돈
2. 8. 원나라 인물
드라마 《신돈》에 등장하는 원나라 인물은 다음과 같다.배우 | 배역 | 역할 |
---|---|---|
김혜리 | 기황후 | 원 순제의 제2 왕비이자 아유시리다라의 생모. 고려 출신 공녀. |
김정하 | 영안왕대부인 이씨 | 기황후의 어머니 |
이대연 | 기철 | 기황후의 오빠. 친원파의 일원으로, 고려에서 덕성부원군 작위를 받고 권세를 휘둘렀으나 처형당함. |
최재호 | 기원 | 기황후의 오빠. 친원파의 일원으로, 고려에서 덕양군 작위를 받고 횡포를 부리다 처형당함. |
조덕현 | 기륜 | 기철의 아들 |
국정환 | 기철의 집사 | |
김주영 | 권겸 | 기철의 측근 |
김영석 | 노책 | 기철의 측근 |
윤순홍 | 조소생 | 기철의 측근 |
김기준 | 조도치 | 기철의 측근 |
허기호 | 덕흥군 | 공민왕을 폐위시키려는 음모에 가담 |
구보석 | 최유 | 공민왕 폐위 계획 당시 기황후가 파견한 토벌군 장수. 이성계에게 격퇴당하고 원나라로 도망갔으나, 고려로 넘겨져 처형됨. |
이석구 | 원 순제 | 원나라의 황제 |
오건우 | 쿤란태자 | 원 순제의 태자 |
서성광 | 아유시리다라 | 순제와 기황후의 아들. 훗날 북원의 황제가 됨. (아역 김종호, 이풍운) |
안치용 | 원 위왕 | |
남영진 | 박불화 | 고려 출신 원나라 환관. 덕흥군을 내세워 공민왕 폐위를 꾀했지만 실패. |
서광재 | 완자불화 | 원나라 환관 |
손화령 | 홍화 | 원나라 환관 |
왕태언 | 패라첩목아 | 원나라 장수 |
김건호 | 상원 | 원나라 승려 |
이봉규 | 석옥 | 원나라 승려 |
유재익 | 대관사 라마승 | 원나라 승려 |
채용 | 티벳사원 라마승 | 원나라 승려 |
안정훈 | 티벳 불자 |
2. 8. 1. 부원배
2. 8. 2. 원나라 황실
2. 8. 3. 원나라 관료
2. 8. 4. 원나라 승려
- 김건호: 상원 역
- 이봉규: 석옥 역
- 유재익: 대관사 라마승 역
- 채용: 티벳사원 라마승 역
- 안정훈: 티벳 불자 역
2. 9. 기타 인물
배우 | 배역 | 작품 속 설정 등 |
강문영 | 초선 | 개성에서 장사를 하는 거상. 신돈(변조)의 이해자이며, 어린 시절 반야의 뒷바라지도 했다. 드라마 오리지널의 가공 인물이다.[21][22][23] |
오만석 | 원현 | 신돈(변조)의 형제 제자로서 함께 수행의 길을 걷는다. 변조가 조정에 들어가 신돈으로 불리게 된 후에는 측근으로서 행동을 함께 한다.[18][19][20] |
임혁 | 보우 | 원나라에서 수행한 고승. |
이정섭 | 안도치 | 공민왕이 강릉대군이었을 때부터 모셨던 환관. 신돈의 오랜 지기이기도 했다. 흥왕사의 난 때 공민왕을 대신하여 살해당한다. |
송재호 | 이제현 | 고려 말의 문신, 학자. |
김상순 | 염제신 | 고려 말의 문신. |
장기용 | 윤시우 | 고려 말의 문신. |
정성모 | 이인복 | 고려 말의 문신. |
이종만 | 유탁 | 고려 말의 무신. |
박종관 | 홍언박 | 고려 말의 문신. |
강상구 | 기현 | 원현의 제자. |
임병기 | 이춘부 | 고려 말의 무신. |
이범우 | 이인 | 고려의 왕족. |
김명수 | 경천흥 | 고려 말의 무신. |
배도환 | 이인임 | 고려 말의 권신. |
김선동 | 김속명 | 고려 말의 무신. |
전인택 | 이색 | 고려 말의 문신, 학자. |
염재욱 | 김구용 | 고려 말의 무신. |
이건 | 임박 | |
하성광 | 정몽주 | 고려 말의 문신, 학자. |
김명국 | 정세운 | 고려 말의 무신. |
정명환 | 조일신 | 고려 말의 무신. |
윤철형 | 김용 | 고려 말의 권신. |
김병춘 | 김원명 | |
김영인 | 유인우 | |
순동운 | 김림 | |
강민서 | 김첨수 | |
강민석 | 강원보 | |
정욱 | 김원봉 | 고려 말의 무신. |
이새벽 | 안우 | 고려 말의 무신. |
김춘기 | 이방실 | 고려 말의 무신. |
나재균 | 김득배 | 고려 말의 무신. |
이종구 | 인당 | |
오현경 | 월선 | |
유종근 | 덕운 | |
전태성 | 지효 | |
이정길 | 공철 | |
김정하 | 영안왕대부인 이씨 | |
이대연 | 기철 | 고려 말의 권신, 기황후의 오빠. |
최재호 | 기원 | 기철의 아들. |
조덕현 | 기륜 | 기철의 아들. |
국정환 | 기철의 집사 | |
김주영 | 권겸 | 고려 말의 권신. |
김영석 | 노책 | 고려 말의 권신. |
윤순홍 | 조소생 | 고려 말의 권신. |
김기준 | 조도치 | |
허기호 | 덕흥군 | 고려의 왕족. |
구보석 | 최유 | 고려 말의 권신. |
이석구 | 원 순제 | 원나라의 황제. |
오건우 | 쿤란태자 | |
서성광 | 아유시리다라 | 원 순제의 아들. (아역 김종호, 이풍운) |
안치용 | 원 위왕 | |
남영진 | 박불화 | 원나라의 환관. |
서광재 | 완자불화 | 원나라의 환관. |
손화령 | 홍화 | |
왕태언 | 패라첩목아 | 원나라의 장수. |
김건호 | 상원 | |
이봉규 | 석옥 | |
유재익 | 대관사 라마승 | |
채용 | 티벳사원 라마승 | |
안정훈 | 티벳 불자 | |
금동현 | 관선생 | |
이상인 | 관선생의 부관 | |
김규열 | 채빈 | |
김종호 | 어의 | |
이진화 | 우대언 | |
이창환 | 신원경 | |
양은용 | 옥천사의 여종 | |
전수지 | 반야의 생모 | |
한영수 | 초선의 집사 | |
최은숙 | 이제현의 부인 |
고려 시대 말기, 자신의 출신 때문에 세상에 대한 증오를 품으면서 고려를 재건하려 노력하는 승려 신돈, 그리고 그와 함께 고려를 재건하려는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삶을 그리고 있다.[26]
고려 시대 말기, 자신의 출신 때문에 세상에 대한 증오를 품으면서 고려를 재건하려 노력하는 승려 신돈, 그리고 그와 함께 고려를 재건하려는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삶을 그리고 있다. 역사적 자료에는 기록되지 않은 신돈의 탄생부터 유년기, 젊은 날의 티베트 방랑 등 픽션에 기초한 장면이 추가되었다.[27] MBC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시간대에 방송되었다.
등장인물은, 개별적으로 주석이 없는 경우에는 공식 사이트[32]를 따른다.
3. 역사적 배경
4. 제작 과정
4. 1. 기획 및 원작
드라마 "신돈"은 한국 소설가 박종화의 소설 『다정불심』을 원작으로 한다.[26] 원작에서는 공민왕과 그의 비 노국공주가 주인공이고 신돈은 조연에 불과했지만, 본 작품에서는 신돈을 주역으로 삼았다.[27]
KBS가 "고려사 10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제작을 예정했던 기획이었으나, 2003년 사장에 취임한 정연주가 이 기획을 취소하면서 KBS에서의 제작이 무산되었고, 이후 MBC에서 제작하게 되었다.[28] 제작 초에는 원작 소설의 제목 『다정불심』이 그대로 사용될 예정이었으나, 손창민이 주역 신돈 역으로 기용됨에 따라, 극작가 정하연이 제목을 현재의 것으로 변경했다.[29]
4. 2. 극본 및 연출
극본은 정하연 작가가, 연출은 김진민 PD가 맡았다.[1] 조연출은 이상엽, 이경선이었다.[1]
4. 3. 제작비
오픈 세트 건설 비용 약 10억엔과 중국으로의 로케 비용[30]을 포함하여, 제작 비용은 약 17억엔에 달한다.[31]
5. 평가 및 영향
드라마 《신돈》은 고려 말기 승려 신돈이 자신의 출신 때문에 세상에 대한 증오를 품으면서도 고려를 재건하려 노력하는 모습, 그리고 그와 함께 고려를 재건하려는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삶을 그리고 있다.
한국 소설가 박종화의 소설 《다정불심》을 원작으로 한다.[26] 원작에서는 공민왕과 그의 비 노국공주가 주인공이고 신돈은 조연이었지만, 드라마에서는 신돈을 주역으로 설정하고 역사적 자료에 기록되지 않은 탄생, 유년기, 젊은 날의 티베트 방랑 등 픽션에 기반한 장면을 추가했다.[27]
원래 KBS가 "고려사 10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제작할 예정이었으나, 2003년 사장에 취임한 정연주가 이 기획을 취소하면서 무산되었고, 이후 MBC에서 제작하게 되었다.[28] 제작 초에는 원작 소설의 제목 《다정불심》을 그대로 사용할 예정이었으나, 손창민이 주역 신돈 역으로 캐스팅되면서 극작가 정하연한국어이 제목을 현재의 《신돈》으로 변경했다.[29] 오픈 세트 건설 비용 약 10억엔과 중국 로케 비용[30]을 포함하여, 제작 비용은 약 17억엔에 달한다.[31]
6. 방영 정보
《신돈》은 잦은 결방으로 시청자들의 불만을 사기도 했다. 결방 사유는 다음과 같다.
날짜 | 결방 사유 |
---|---|
2005년 10월 15일 | MBC 대학가요제 편성 |
2005년 12월 31일 | MBC 가요대제전 1~2부 편성 |
2006년 1월 1일 | 신년특집 〈도전! 2006 독일 월드컵〉 편성[41] |
2006년 1월 28일 | 설 특선영화 《공공의 적 2》 편성[42] |
2006년 1월 29일 | 설 특선영화 《댄서의 순정》 편성[42] |
일본에서는 BS11의 개국 기념 프로그램으로 방송되었으며, 방송 종료 후 재방송 요구가 쇄도할 정도의 반향을 얻었다.[37]
6. 1. 국내 방영
2005년 9월 24일부터 2006년 5월 7일까지 MBC에서 방영되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이유로 잦은 결방이 발생하여 시청자들의 불만을 사기도 했다.날짜 | 결방 사유 |
---|---|
2005년 10월 15일 | MBC 대학가요제 편성 |
2005년 12월 31일 | MBC 가요대제전 1~2부 편성 |
2006년 1월 1일 | 신년특집 〈도전! 2006 독일 월드컵〉 편성[41] |
2006년 1월 28일 | 설 특선영화 《공공의 적 2》 편성[42] |
2006년 1월 29일 | 설 특선영화 《댄서의 순정》 편성[42] |
6. 2. 해외 방영
BS11의 개국 기념 프로그램으로 방송되었으며, 방송 종료 후에도 재방송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동 방송국이 운영하는 프로그램 소개 페이지의 게시판에 쇄도할 정도의 반향을 얻었다.[37] 케이블 TV 채널 GTV 계열 채널 八大戲劇台|GTV 드라마중국어에서 2011년 4월 2일부터 매주 토요일, 일요일 오전 10시에 방송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다정불심(1967, the phahtom queen) -노국공주 지니 공민왕 지고 고려도 졌도다!
https://m.blog.naver[...]
2021-07-01
[2]
웹사이트
첫 발 뗀 MBC 사극 '신돈'의 정하연 작가
https://mnews.joins.[...]
2021-07-01
[3]
웹사이트
"[초대석]드라마 제작사 삼화네트웍스 신현택 회장"
https://www.donga.co[...]
2009-06-24
[4]
웹사이트
MBC '신돈' 24일 첫 방송
https://www.hankyung[...]
2006-04-03
[5]
웹사이트
신돈이 지하에서 땅을 치며 통곡할 일
https://m.hankookilb[...]
2005-10-02
[6]
웹사이트
다정불심(多情佛心)
http://encykorea.aks[...]
2021-07-01
[7]
웹사이트
"[방송]새 주말드라마 '신돈' 中사막서 고행장면 촬영"
https://www.donga.co[...]
2005-09-01
[8]
웹사이트
손창민, '신돈' 캐스팅 되기 전 제목은 '다정불심'
https://n.news.naver[...]
The Korea Herald
2021-07-01
[9]
웹사이트
손창민, "저를 짝사랑한다고 해서 감복했죠."
https://m.nocutnews.[...]
2021-07-01
[10]
웹사이트
손창민, 신돈역 'CF 인기몰이' 한달에 1편꼴 계약
https://www.chosun.c[...]
2020-08-12
[11]
웹사이트
손창민 "신돈은 이순신이나 장희빈 아니다"
https://www.hankyung[...]
2006-04-03
[12]
웹사이트
손창민 "신돈 연기 기대하세요"
https://m.yeongnam.c[...]
2005-06-30
[13]
웹사이트
정보석, 고려시대로 돌아갔다‥'신돈' 이어 '무신'까지
https://m.mk.co.kr/s[...]
2011-11-17
[14]
웹사이트
서지혜와 커플연기 정보석,"어이없는(?) 총각 전문배우" 1순위
https://m.nocutnews.[...]
2021-07-01
[15]
웹사이트
서지혜, MBC '신돈' 여주인공 캐스팅
https://www.hankyung[...]
2006-04-03
[16]
웹사이트
"'신돈' 서지혜, "공주아닌 여장부"...촬영장 분위기 메이커"
https://www.chosun.c[...]
2020-08-12
[17]
웹사이트
"[신돈] 어린 반야 (반야아역 - 방준서 , 전하은)"
https://m.blog.naver[...]
2021-07-01
[18]
웹사이트
오만석이란 이름 석자를 각인시켰던 신돈의 원현
https://m.blog.naver[...]
2021-07-01
[19]
웹사이트
"'신돈' 오만석, "내가 맡은 원현은 가롯 유다와 같은 역""
http://m.joynews24.c[...]
2021-07-01
[20]
웹사이트
드라마 '신돈' 출연, 연기 영역 넓히는 뮤지컬 스타 오만석
https://woman.donga.[...]
2006-02-08
[21]
웹사이트
"[방송]강문영 8년만에 안방극장 컴백…MBC '신돈' 출연"
https://www.donga.co[...]
2005-11-05
[22]
웹사이트
"'신돈' 초선역 강문영 8년 만의 연기 복귀 "카메라 앞이 행복해요""
https://mnews.joins.[...]
2021-07-01
[23]
웹사이트
강문영, "평범하게 살고 싶었는데 어쩔수 없는 연기인생"
https://m.nocutnews.[...]
2021-07-01
[24]
웹사이트
방송3사 신년특집..간소하면서도 알차게
https://star.mt.co.k[...]
2005-12-29
[25]
웹사이트
"<방송3사 TV 설 특집>"
https://n.news.naver[...]
Naver News
2006-01-25
[26]
웹사이트
PORTFOLIO 신돈
http://www.shnetwork[...]
2015-12-06
[27]
웹사이트
신돈 VS 서동요, 가을 사극 속에 빠지다
http://joynews.inews[...]
2005-09-06
[28]
웹사이트
[기자의 눈]이진영/KBS에서 밀려난 ‘고려史’
http://news.donga.co[...]
2004-08-20
[29]
웹사이트
손창민, ‘신돈’ 캐스팅 되기 전 제목은 ‘다정불심’
http://entertain.nav[...]
2005-09-02
[30]
웹사이트
손창민, MBC '신돈' 주연 캐스팅
http://www.hankyung.[...]
2005-06-29
[31]
웹사이트
韓国ドラマ「シンドン~高麗中興の功臣~」
http://www.so-netme.[...]
2015-12-06
[32]
웹사이트
등장인물
http://www.imbc.com/[...]
2015-12-06
[33]
웹사이트
"'희비 윤씨' 지성원, "궁궐에 치맛바람 불었데요""
http://www.chosun.co[...]
2005-06-02
[34]
서적
韓国時代劇・歴史大辞典
学研パブリッシング
[35]
문서
松村広行編、前掲書、111頁。
[36]
Daum movie
이종만 작품목록
http://movie.daum.ne[...]
2015-12-06
[37]
웹사이트
辛日屯(シンドン) 高麗中興の功臣 第7巻
http://move-r.jp/ind[...]
2015-12-06
[38]
뉴스
손창민, ‘신돈’ 캐스팅 되기 전 제목은 ‘다정불심’
http://entertain.nav[...]
헤럴드경제
2005-09-02
[39]
뉴스
MBC드라마 '신돈' 주연 손창민
http://m.hankookilbo[...]
한국일보
2005-09-16
[40]
뉴스
신돈이 지하에서 땅을 치며 통곡할 일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
2005-10-02
[41]
뉴스
방송3사 신년특집..간소하면서도 알차게
http://entertain.nav[...]
스타뉴스
2005-12-29
[42]
뉴스
"<방송3사 TV 설 특집>"
http://entertain.nav[...]
연합뉴스
2006-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